'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# 익명타입 (0) | 2020.08.15 |
---|---|
c# Thread Safety (Lock 사용하기) (0) | 2020.08.15 |
c# 무명메서드 (0) | 2020.08.15 |
c# 동기 / 비동기 (0) | 2020.08.15 |
c# 클래스 & 접근 제한자 (0) | 2020.08.15 |
c# 익명타입 (0) | 2020.08.15 |
---|---|
c# Thread Safety (Lock 사용하기) (0) | 2020.08.15 |
c# 무명메서드 (0) | 2020.08.15 |
c# 동기 / 비동기 (0) | 2020.08.15 |
c# 클래스 & 접근 제한자 (0) | 2020.08.15 |
1. 접근제한자를 사용하는 곳.
1) 클래스 자체
2) 클래스 안의 멤버들(필드, 메소드, 속성, 생성자)
[Default]
1. 클래스나 스트럭트(struct) 안에 있는 멤버들은 default로 private 접근 제한자가 사용된다.
(접근제한자를 안쓰면 private가 적용됨.)
2. 클래스나 스트럭트 자체에는 internal이 default로 적용됨.
* internal : 현재 assembly 안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.
- assembly :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exe나 dll등이 생성되는데, 이런 것을 어셈블리라 한다.
- 다른 어셈블리 안에서도 사용하려면.... internal을 public으로 변경.
* public : 공개
* private : 비공개
* protected : 파생클래스에서 접근할 수 있음.
name이라는 필드를 protected로 접근제한하면,
Dog라고 정의한 파생클래스에서
부모클래스의 name필드에 접근할 수 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추가 참고 강의 (클래스와 접근제한자를 사용하는 예)
c# 익명타입 (0) | 2020.08.15 |
---|---|
c# Thread Safety (Lock 사용하기) (0) | 2020.08.15 |
c# 무명메서드 (0) | 2020.08.15 |
c# 동기 / 비동기 (0) | 2020.08.15 |
c# 쓰레드(Thread) 사용하기 (0) | 2020.08.15 |